국내 채용포털 소개 │ 사람인·잡코리아·워크넷·잡플래닛·리멤버

 

국내 채용포털의 역할

한국에서 구직을 준비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채용포털입니다.
사람인, 잡코리아 같은 민간 사이트부터, 고용노동부가 운영하는 워크넷까지 다양한 플랫폼이 존재합니다. 최근에는 기업 리뷰·명함 기반 네트워킹을 결합한 잡플래닛, 리멤버도 중요한 채널로 자리 잡았습니다.
각각의 특징을 이해하면, 내가 어떤 상황에서 어떤 플랫폼을 활용해야 할지 명확해집니다.


1. 사람인 (Saramin)

  • 특징: 국내 최대 규모 채용포털, 공고량이 방대함

  • 장점: 신입·경력·계약직 등 다양한 채용 형태 커버

  • 단점: 공고 수가 많아도 스팸성·단순 채용이 섞여 품질 편차가 있음


2. 잡코리아 (JobKorea)

  • 특징: 사람인과 함께 양대 산맥, 공고 + 기업 리뷰·연봉 정보 제공

  • 장점: 기업 정보 검색과 함께 지원 가능 → 의사결정에 도움

  • 단점: 유료 서비스가 많아, 일부 기능은 제한적


3. 워크넷 (Worknet)

  • 특징: 고용노동부가 운영하는 공공 채용포털

  • 장점: 공공기관·정부 지원 일자리 강점, 신뢰성 있는 데이터

  • 단점: UI가 다소 불편하고, 민간 채용공고는 상대적으로 부족


4. 잡플래닛 (JobPlanet)

  • 특징: 기업 리뷰·평판 중심 → “직장인들의 Glassdoor”

  • 장점: 현직자 리뷰로 기업 문화를 미리 알 수 있음

  • 단점: 익명 리뷰라 신뢰성 논란 존재, 부정적 의견 과다 노출 가능


5. 리멤버 (Remember)

  • 특징: 명함 관리 앱에서 출발, 이제는 국내형 LinkedIn으로 성장

  • 장점: 경력직·전문직 중심, 리크루터와 직접 연결되는 구조

  • 단점: 신입 채용 정보는 부족, 글로벌 기회는 제한적


6. LinkedIn과의 차이

  • 국내 포털: 국내 채용 정보에 강점 (특히 신입·공공·중소기업)

  • LinkedIn: 글로벌 기회, 네트워킹, 자기 브랜딩에 강점

👉 결론적으로, 국내 취업 준비자라면 국내 포털 + LinkedIn 병행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마무리 │ 상황에 맞는 플랫폼 선택

국내 채용포털은 지원의 폭을 넓히는 도구이고, LinkedIn은 경력 확장의 무대입니다.
사람인·잡코리아·워크넷으로 국내 기회를 챙기면서, 잡플래닛·리멤버로 기업 정보를 보완하고, LinkedIn으로 글로벌 채용을 바라보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areer Compass, 왜 LinkedIn인가?

LinkedIn에서 콘텐츠 소비하기 │ 팔로우·그룹·댓글

채용공고 찾기 │ Jobs 탭 & 알림 설정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