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eampax Career Insight │ 시즌 2

공급망 관리자 (Supply Chain Manager)

원재료에서 고객까지, 모든 흐름을 설계하는 운영의 두뇌.

분야: 재무·전략·비즈니스 │ 에피소드: Ep.31 │ 업데이트: 2025-10-11

I. 직무 개요 (Overview)

Supply Chain Manager는 생산, 물류, 재고, 납기 등 공급망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하는 전문가입니다. 공급망(Supply Chain)은 단순한 물류의 문제가 아니라, **기업 경쟁력의 실체**입니다. 이들은 원가 절감과 납기 단축, 품질 개선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데이터와 협업을 기반으로 글로벌 흐름을 설계합니다.

키워드: Supply Chain ManagementLogisticsProcurementInventory OptimizationDemand Planning

II. 주요 역할 및 책임 (Key Responsibilities)

  • 글로벌 공급망 전략 수립 및 운영
  • 수요예측(Demand Forecast) 및 생산·재고 계획 수립
  • 공급업체(벤더) 평가 및 계약 관리
  • 물류비 최적화 및 리드타임 단축
  • 위기 상황(공급망 단절 등) 대응 전략 마련
  • ESG 관점의 지속가능한 공급망 설계

III. 필요 역량 및 자격 요건 (Skills & Qualifications)

핵심 역량

  • SCM, ERP, SAP 등 공급망 시스템 활용 능력
  • 수요예측·재고분석 데이터 모델링(Python, Power BI 등)
  • 글로벌 무역 및 규제 이해
  • 리스크 관리 및 복원력(Resilience) 구축
  • 공급업체 협상 및 파트너십 구축 능력

소프트 스킬

  • 위기 상황에서의 냉정한 판단력과 문제 해결 능력
  • 부서 간 커뮤니케이션 및 조율 능력
  •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에 대한 장기적 관점

가산점 요소 (Plus)

  • 국제무역 및 운송 관련 자격 (CPIM, CSCP 등)
  • 공급망 회복탄력성 전략(Resilient Supply Chain) 구축 경험
  • AI 기반 SCM 자동화 프로젝트 경험

IV. 커리어 경로 (Career Path)

Supply Chain Analyst → Supply Chain Manager → Operations Manager → Director of Logistics → Head of Global Supply Chain → COO(Chief Operating Officer)로 성장 경로가 이어집니다. 기술적 전문성과 비즈니스 통찰이 결합된 리더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V. 시장 트렌드 (Market Insights)

팬데믹 이후 공급망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은 **‘Resilient SCM(회복탄력적 공급망)’**을 핵심 전략으로 삼고 있습니다. AI 기반 수요예측, ESG 책임조달, 지역분산형 생산(Regionalization)이 주요 키워드입니다. Supply Chain Manager는 **‘리스크 관리자이자 가치 연결자’**로서 그 중요성이 급상승했습니다.

VI. Dual Insight │ 후보자 & 헤드헌터 관점

For Candidates

  • 재고·납기·비용 등 공급망 성과 지표를 수치로 제시하세요.
  • 위기 대응(부품 단절 등) 사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세요.
  • AI·데이터 기반 SCM 개선 프로젝트 경험을 강조하세요.
  • ESG 기반 조달정책 참여 경험이 있다면 강점입니다.

For Recruiters

  • 단순 운영형보다는 ‘전략형 공급망 관리자’를 찾으세요.
  • 기술적 시스템 역량(SAP, AI 예측 등)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 글로벌 리스크 대응 경험이 채용의 핵심 포인트입니다.
  • ESG 공급망 관리 경험은 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VII. 연봉 범위 & 채용 포인트

국내 Supply Chain Manager 평균 연봉은 9,000만~1억 7,000만 원, 글로벌 기준으로는 10만~20만 달러 수준입니다. ESG·AI·리스크 관리 능력을 갖춘 후보자는 프리미엄 대우를 받습니다.

  • 위기 대응 및 납기 안정화 성과가 주요 평가 지표입니다.
  • 데이터 기반 SCM 전략 기획 경험이 차별화 포인트입니다.
  • 해외 공급망 관리 경험이 있으면 글로벌 포지션으로 확장됩니다.

VIII. 자주 묻는 질문 (FAQ)

Q1. SCM과 Logistics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물류(Logistics)는 이동과 보관 중심, SCM은 전체 가치흐름 관리입니다.
Q2. Supply Chain Manager는 기술을 얼마나 이해해야 하나요?
A. AI 예측, ERP, 데이터 모델링 등 기술 이해는 필수 수준입니다.
Q3. ESG 공급망 관리란?
A. 환경·사회적 책임 기준을 반영한 조달 및 생산체계를 의미합니다.
📎 관련 라벨:
커리어인사이트, Dreampax Career, Position Insight, Career Insight, 공급망관리, SupplyChain, SCM, 물류전략, 조달관리, 납기관리, ESG공급망, 회복탄력성, DemandPlanning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