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헌터의 LinkedIn 활용법 Ep.12 │ 고급 Boolean Search 응용 (산업·직무별 맞춤식)

 

🎯 왜 산업·직무별 응용이 필요한가?

기본 Boolean Search만으로는 “Data Scientist”, “Marketing Manager” 같은 표준 타이틀 위주의 후보자만 찾게 됩니다. 하지만 실제 채용 현장에서는 기업마다 다른 직무명·약어·표현을 쓰고, 업계별 특수 키워드도 다릅니다.
👉 따라서 헤드헌터는 Boolean Search를 산업별·직무별로 맞춤화해 활용해야, 진짜 숨은 인재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1️⃣ IT 산업 │ 스킬 중심 키워드 확장 💻

📌 특징

  • 직무명은 빠르게 진화 (“AI Engineer”, “ML Ops”, “Prompt Engineer”)

  • 스킬셋이 곧 차별화 포인트

🔑 검색 예시

("AI Engineer" OR "Machine Learning Engineer" OR "Prompt Engineer") AND ("Python" OR "TensorFlow" OR "PyTorch") AND ("AWS" OR "Azure" OR "GCP")

👉 핵심: 직무명 + 주요 스킬 + 클라우드 환경 키워드를 묶어야 진짜 기술자가 걸립니다.


2️⃣ 제약·바이오 │ 규제·임상 키워드 필수 🧪

📌 특징

  • Clinical Trial Manager, CRA, Medical Science Liaison 등 직무 다양

  • 규제·승인 관련 용어(GCP, FDA, Oncology 등) 자주 등장

🔑 검색 예시

("Clinical Trial Manager" OR "CRA" OR "Clinical Research Associate") AND ("Oncology" OR "Immunology") AND ("GCP" OR "ICH-GCP" OR "FDA")

👉 핵심: 전문 용어를 넣지 않으면, 단순 연구원 풀에서 벗어나지 못함.


3️⃣ 제조업 │ 운영·품질 키워드 조합 ⚙️

📌 특징

  • 생산, 품질, 공정 관련 직무명 다양

  • Lean, Six Sigma, ISO 등 프로세스 키워드 중요

🔑 검색 예시

("Plant Manager" OR "Production Manager" OR "Process Engineer") AND ("Lean" OR "Six Sigma" OR "Kaizen") AND ("ISO" OR "HACCP" OR "GMP")

👉 핵심: 운영+품질+개선 세 가지 축을 동시에 검색해야 우수 인재 필터링 가능.


4️⃣ 소비재(FMCG) │ 브랜드·시장 키워드 🛍️

📌 특징

  • Brand Manager, Category Manager, Trade Marketing 등 글로벌 직무명

  • KPI 중심(시장 점유율, 매출 성장, 브랜드 런칭 경험)

🔑 검색 예시

("Brand Manager" OR "Category Manager" OR "Trade Marketing Manager") AND ("FMCG" OR "Consumer Goods") AND ("Launch" OR "Go-to-Market" OR "Market Share")

👉 핵심: 직무명 + FMCG 필터 + 성과 키워드를 동시에 묶어야 함.


5️⃣ 금융·컨설팅 │ 자격증·성과 기반 💼

📌 특징

  • CFA, CPA, MBA 같은 자격 키워드 자주 언급

  • ROI, Valuation, M&A 등 성과 지표 중심

🔑 검색 예시

("Financial Analyst" OR "Investment Analyst" OR "Equity Research") AND ("CFA" OR "CPA" OR "MBA") AND ("Valuation" OR "M&A" OR "ROI")

👉 핵심: 자격증 + 성과 키워드가 신뢰성 높은 후보자를 걸러줌.


6️⃣ 실전 팁 ✨

  • 약어 + 풀네임 병행: HRBP ↔ Human Resources Business Partner

  • 지역 키워드 추가: Seoul, Tokyo, Singapore, Remote

  • 언어 조건 필수: bilingual, trilingual, English, Korean

👉 Boolean Search는 “정답”이 아니라, 끝없는 테스트와 조합을 통해 다듬어가는 과정입니다.


📌 글 요약 & 활용 포인트

  • 산업별·직무별 키워드 최적화가 Boolean Search의 핵심

  • IT: 스킬 중심 (Python, Cloud, AI)

  • 제약: 규제·임상 용어 (GCP, Oncology, FDA)

  • 제조업: 운영·품질·개선 (Lean, Six Sigma, ISO)

  • 소비재: 브랜드·성과 키워드 (Launch, Market Share)

  • 금융: 자격증·성과 기반 (CFA, M&A, ROI)

👉 Boolean Search 응용은 단순 기술이 아니라, 산업 이해력과 직무 통찰을 결합한 헤드헌터의 무기입니다.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헤드헌터의 LinkedIn 활용법 Ep.2 │ LinkedIn Recruiter vs 무료 계정 차이

Career Compass, 왜 LinkedIn인가?

헤드헌터의 LinkedIn 활용법 Ep.3 │ 프로필 분석 기술 (후보자의 숨은 시그널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