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헌터의 LinkedIn 활용 심화편 Ep.16 │ 글로벌 원격 근무 시대의 후보자 탐색 (Remote & Hybrid Work 트렌드 대응)

 

🌍 원격 근무 시대, 채용의 판이 바뀌다

팬데믹은 전 세계 노동시장의 규칙을 바꿔 놓았습니다.
그중 가장 큰 변화는 **Remote Work(원격 근무)**와 **Hybrid Work(혼합 근무)**의 확산입니다.
이제 많은 후보자들이 “어디에서 일할 수 있는가?”보다 “어떤 방식으로 일할 수 있는가?”를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 헤드헌터는 이 변화 속에서, LinkedIn을 활용해 국경과 지역을 넘어 후보자를 탐색해야 합니다.


1️⃣ Remote & Hybrid 시대 후보자의 특징 👩‍💻

  • 원격 근무 경험을 프로필에 강조

    • 예: “Remote Team Management”, “Distributed Agile”

  • 협업 도구 역량 언급

    • Slack, Zoom, Jira, Notion 등

  • Work-Life Balance를 고려해 새로운 기회를 탐색

👉 후보자의 가치관이 “연봉”에서 “근무 방식”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이해해야 합니다.


2️⃣ LinkedIn에서 Remote 후보자 찾기 🔍

📌 Boolean Search 활용

("Software Engineer" OR "Frontend Developer") AND ("Remote" OR "Hybrid" OR "Work from Home") AND (React OR JavaScript)
  • “Remote”, “Hybrid”, “WFH(Work From Home)” 키워드를 포함

  • 스킬과 직무명을 함께 넣어 후보자 풀 정밀화

📌 필터 기능

  • Location(지역)을 “Worldwide” 또는 특정 대륙으로 확장

  • “Open to Work” 상태 + “Remote” 표시한 후보자 우선 탐색

👉 LinkedIn Recruiter는 Remote Work를 하나의 조건으로 지원 → 필수 활용.


3️⃣ 글로벌 소싱의 기회와 과제 🌐

✅ 기회

  • 인재 풀 확장: 지역 제한이 사라져 더 많은 후보자 확보

  • 희소 스킬 매칭: 특정 국가에서만 흔한 기술도 글로벌로 접근 가능

⚠️ 과제

  • 시차(Time Zone) 문제 → 협업 효율 저하 가능

  • 법적·세무적 이슈 → 고용 형태, 계약 문제 발생

  • 문화적 차이 →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차이로 갈등 가능

👉 헤드헌터는 단순 매칭을 넘어, 근무 환경 적합성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4️⃣ 고객사에 제시할 수 있는 인사이트 💡

  • “Remote 근무 허용 시, 후보자 풀 3배 확대 가능”

  • “Hybrid 옵션 제공 시, 응답률 20% 상승”

  • “특정 포지션(예: 개발자, 디자이너)은 Remote 채용이 글로벌 스탠다드”

👉 단순히 후보자 소개가 아니라, 채용 전략 제안자로 차별화할 수 있습니다.


5️⃣ 사람냄새 나는 접근 🌱

Remote 후보자는 더 이상 “어디 사는가?”보다 **“어떻게 일하고 싶은가?”**를 중시합니다.
따라서 InMail에서도 이 점을 존중해야 합니다.

예시 메시지:

“안녕하세요. 귀하의 원격 팀 관리 경험이 눈에 띄었습니다. 현재 저희 고객사도 글로벌 분산 팀을 운영 중인데, 귀하의 역량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혹시 원격 근무 옵션에 대해 짧게 이야기 나눌 수 있을까요?”

👉 후보자의 “삶의 방식”을 존중하는 접근이 신뢰를 만듭니다.


📌 글 요약 & 활용 포인트

  • Remote & Hybrid 근무는 채용 시장의 핵심 키워드

  • LinkedIn 검색에서 “Remote, Hybrid, WFH” 키워드·필터 적극 활용

  • 글로벌 소싱은 기회(인재 풀 확대)와 과제(시차·법적 이슈) 모두 존재

  • 고객사에는 Remote 옵션이 채용 경쟁력임을 데이터로 설득

  • 후보자 접근 시, “삶의 방식 존중”을 기반으로 커뮤니케이션

👉 원격 근무 시대의 헤드헌터는 단순 매칭자가 아니라, 새로운 일하는 방식을 설계하는 커리어 아키텍트입니다.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헤드헌터의 LinkedIn 활용법 Ep.2 │ LinkedIn Recruiter vs 무료 계정 차이

Career Compass, 왜 LinkedIn인가?

헤드헌터의 LinkedIn 활용법 Ep.3 │ 프로필 분석 기술 (후보자의 숨은 시그널 찾기)